문화, 예술

해동성취사 - 연화무 ( 동영상,사진 )

평사리 정수 2013. 5. 17. 19:13

     < 연화무 영상1 > 

2013년 부처님오신 날 해동성취사에서는 아름다운 춤을 선 보였다. 이 춤이 뭘까?  

 

       < 연화무 영상2 > 

 

 

 

 

 

 

 

[무용] 연화무 : 고려 시대 들어온 당악 정재() 하나. 미신사() 내용 의하면, 동녀() 봉래()에서 내려와 연꽃술 생겨났다가 군왕() 덕화() 감격하여 가무()로써 즐거움 가져다주려 왔다 한다.

연화무(蓮花舞)는 연꽃을 들고 춤추는 정재이다. 문헌에 연화무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8년(순조 28)으로 <무자 진작의궤>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연화병(蓮花甁) 6개를 설치하여 무동 6인이 각각 병 속의 꽃을 한 가지씩 취하여 전후좌우로 나누어 북향하여 춤춘다.”라고 하였다. 또한 의궤 정재악장에 따르면, “도서집성 악원에 이르기를 우조(羽調)에 석지곡이 있다. 2명의 여자아이가 고운 옷과 모자를 쓰고 금색방울을 달아 손뼉을 치고 돌리면 소리가 난다. 두 연꽃 안에서 나왔기 때문에 연화무라 이름하였다.”라고 한다. 연화무의 유래는 연꽃 안에서 나왔기 때문에 붙였다고 하나, 실제로 연화무 정재에서 연꽃은 설치되지 않고, 연화병만 설치되었다고 한다.